메가바이트스쿨14 arrays.asList의 의미 Arrays.asList는 배열을 리스트로 변환하는 메서드입니다. 배열을 리스트로 변환할 때 사용하며, 변환된 리스트는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즉, 리스트의 크기는 배열의 크기와 같으며, 리스트의 요소는 배열의 요소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배열을 생성하고 Arrays.asList 메서드를 사용하여 리스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javaCopy code String[] array = {"A", "B", "C"}; List list = Arrays.asList(array); 위 코드에서 Arrays.asList(array)는 array 배열을 리스트로 변환합니다. list 객체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가지게 됩니다. cssCopy code ["A", "B", "C"] lis.. 2023. 4. 10. String vs StringBuffer / StringBuilder의 비교 Java StringBuffer, StringBuilder 사용법 및 차이점 - 자바 동적 문자열 - Java에서 문자열을 다루는 대표적인 클래스로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가 있습니다. 연산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어떤 클래스를 사용해도 이슈에 무방하지만, 연산이 많아지거나 멀티쓰레드 등의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면 각 클래스의 특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1. String vs StringBuffer / StringBuilder 먼저 String은 불변의 속성을 가집니다. String str = "hello"; // String str = new String("hello"); str += "world"; // "hello world".. 2023. 3. 10. equals와 hashCode 1. equals와 hashCode란? equals와 hashCode는 모든 Java 객체의 부모 객체인 Object 클래스에 정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Java의 모든 객체는 Object 클래스에 정의된 equals와 hashCode 함수를 상속받고 있다. [ equals()란? ] boolean equals(Object obj)로 정의된 equals 메소드는 기본적으로 2개의 객체가 동일한지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equals가 구현된 방법은 2개의 객체가 참조하는 것이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며, 이는 동일성(Identity)을 비교하는 것이다. 즉, 2개의 객체가 가리키는 곳이 동일한 메모리 주소일 경우에만 동일한 객체가 된다.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bj) {.. 2023. 3. 10. 스트림 3 GroupingBy() 그룹화 다중 그룹화 예제 위예제와 같다 반별 성적별 트리셋으로 하이 미드 로우로 나오게함 학년별 나누고 반별로 나누고 스트림의 변환표 2023. 3. 3. 스트림2 Null을 간접적으로 다루기위해서 1.null을 직접 다루는 것은 위험 nullpointException 2.null 체크 , if는 필수 코드가 지저분 String str = " "; 한단계 더 거쳐서 가는 객체 생성 Null로 초기화 하면 nullpointException이 많이 나옴 그러니 비어 있는 상태로 초기화하는게 좋음 예제 nullpointException 발생 막기 위해서 배열을 빈 배열로 초기화 성능때문에 사용하는 기본형을 감싸는 래퍼클래스 0으로 초기화와 비어있음으로 초기화 했을시 구별하는 법 OptionalInt.of(0) --> value = 0, ispresent = true; OptionalInt.empty(); --> value = 0, ispresent = false; 예제 .. 2023. 2. 24. 스트림 1 스트림 --> 데이터의 연속적인 흐름(강 = 흐르는 물) 만드는법 스트림 만들기 중간연산 n번 최종 연산 1번 스트림은 데이터 소스(원본)을 건드리지 않고 일기만 한다 지연된 연산 - 무한 스트림을 중복제거를 하는게 말이 안되는데 가능하게 하는 이유가 지연된 연산때문 반복문을 내부 반복 처리 멀티스레드로 병렬스트림이 가능 - parallel() sequential() (반대어 한번에 처리 default는 스퀀셜) FP ->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큰작업을 한번에가 아닌 여러 개로 나눠서 수행 데이터 소스가 기본형일때 비효율을 제거하기 위해 기본형 스트림을 사용한다 예제 List를 Stream으로 변환하는게 아니고 list를 데이터 소스로 하는 새로운 스트림을 생성 스트림은 1회용이다 최.. 2023. 2. 17. 이전 1 2 3 다음